이도훈 (공무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도훈은 대한민국의 외교관이다. 1985년 외무고시에 합격하여 외교관 생활을 시작했으며, 외교부 북핵외교기획단장, 청와대 외교비서관, 외교부 제2차관 등을 역임했다. 북핵 문제 전문가로, 2012년부터 2014년까지 북핵 외교기획단장으로 활동하며 북한의 3차 핵실험에 대응했고, 문재인 정부에서도 북핵 외교를 총괄했다. 주 이란 공사, 주 세르비아 대사,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등을 거쳤으며, 현재는 주 러시아 대사로 재직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 천영우
천영우는 외무고시를 통해 외교관으로 시작하여 외교통상부, 주유엔대표부, 주영국 대사 등을 역임하고,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 한반도평화교섭본부 본부장, 제2차관, 대통령실 외교안보수석비서관을 거쳐 현재 한반도미래포럼 이사장 등으로 활동한다. -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 위성락
위성락은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외무고시에 합격한 대한민국 외교관 출신으로, 외교부에서 북미·북핵 및 러시아 전문가로 활동하며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주러시아 대사를 역임했고,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로 당선되어 현재 국회의원 및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 러시아 주재 대한민국 대사 - 홍순영 (외교관)
홍순영은 대한민국의 외교관으로, 외무부 북미1과 과장, 아프리카국 국장, 대통령 비서실 비서관, 주요 국가 대사를 거쳐 외교통상부 장관과 통일부 장관을 역임하며 대북 포용 정책에 기여하고 남북 교류 및 협력 증진에 힘썼다. - 러시아 주재 대한민국 대사 - 위성락
위성락은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외무고시에 합격한 대한민국 외교관 출신으로, 외교부에서 북미·북핵 및 러시아 전문가로 활동하며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주러시아 대사를 역임했고,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로 당선되어 현재 국회의원 및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 부산남고등학교 동문 - 정상수
정상수는 대한민국 래퍼로, 부산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으며, 엠넷의 힙합 오디션 프로그램에 출연하여 다수의 음반을 발매했다. - 부산남고등학교 동문 - 표민수
표민수는 대한민국의 드라마 PD이자 컴퍼니칭의 대표이며, KBS 드라마본부 PD로 활동하며 《풀하우스 시즌1》, 《그들이 사는 세상》, 《프로듀사》 등 인기 드라마를 연출했고 노희경 작가와 협업하여 백상예술대상 신인연출상을 수상했다.
이도훈 (공무원) | |
---|---|
인물 정보 | |
이름 | 이도훈 |
원어명 | 李度勳 |
로마자 표기 | I Do-hun |
출생일 | 1962년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외교관 |
경력 | 외교관 |
2. 생애
1985년 외무고시 19회로 외교관 생활을 시작하였다.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외교부 북핵외교기획단장을 역임하며 2013년 2월 북한의 3차 핵실험에 대응, 박근혜 정부 초기 대북 제재 관련 업무를 수행했다. 2016년 9월 청와대 외교비서관으로 근무했으며, 문재인 정부에서 '북핵 외교 총괄'을 담당하게 되었다. 부산광역시 출신으로, 주 이란 공사, 주 세르비아 대사, 대통령비서실 외교비서관 등을 역임했다. 박근혜 정부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북핵 문제에 대한 전문성을 인정받아 문재인 정부에서도 재임용되었다.
1985년 외무고시 19회로 외교관 생활을 시작하였다. 2012년부터 2년간 외교부 북핵외교기획단장을 역임하며 2013년 2월 북한의 3차 핵실험에 대응, 박근혜 정부 초기 대북제재 관련 업무를 수행했다. 2016년 9월 청와대 외교비서관을 거쳐 문재인 정부에서 ‘북핵 외교 총괄’을 담당했다. 2021년 8월 국민의힘 윤석열 제20대 대통령 선거 예비후보 국민캠프 정책자문단에서 활동했고, 2022년 5월 외교부 제2차관, 2023년 7월 주 러시아 대사로 임명되었다.[1]
2021년 8월 국민의힘 윤석열 제20대 대통령 선거 예비후보 국민캠프 정책본부 정책자문단 외교·안보·통일 분과 외교·안보·통일정책 자문가(북한·4강외교담당)로 활동했다. 2022년 5월 외교부 제2차관에 임명되었으며, 2023년 7월 장호진 주러시아 대사가 국가안보실장에 임명되면서 주 러시아 대사로 임명되었다.
3. 외교 활동
주 이란 공사, 주 세르비아 대사 등을 역임했다.
3. 1.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와의 관계
2012년부터 2014년까지 북핵 문제 외교기획단장을 역임했고, 2013년 북한의 3차 핵실험 이후 대북 제재 관련 업무를 담당했다.[1] 박근혜 정부 말기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실 외교비서관으로 활동했으며, 북핵 문제에 대한 전문적인 이해를 높이 평가받아 문재인 정부에서도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으로 다시 임용되었다.[1]
3. 2. 한미일 협력
2018년 12월, 강경화 장관과 함께 일본을 방문하여 가네스기 겐지 아시아 대양주 국장과 북한 문제에 관한 한일, 한미일 협력 등을 협의했다.[1]
2019년 2월 9일,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김혁철과 회담한 스티븐 비건 북한 담당 특별대표를 한국에 맞이하여, 일본의 가네스기 겐지와 함께 실무자 협의를 실시했다.[3]
2019년 3월 5일, 워싱턴에서 비건 특별대표, 일본의 가네스기 겐지 국장과 3자 협의를 진행했다.[5]
3. 3. 북미 협상
2019년 1월 21일, 스웨덴에서 열린 한국, 미국(스티븐 비건 북한 담당 특별대표), 북한(최선희) 실무자 협의에 참석했다.[2] 2019년 2월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2월 9일에는 방북한 김혁철과 회담한 비건 북한 담당 특별대표를 한국에서 맞이하여, 일본의 가네스기 겐지와 함께 실무자 협의를 실시했다.[3] 2019년 2월 말에는 북미정상회담이 열리는 베트남 하노이를 방문했지만, 회담이 합의 없이 종료되었기 때문에 특별한 역할을 수행하지는 못했다.[4]
3. 4. 한일 관계
2019년 3월 15일, 김용길 동북아시아국장과 함께 가네스기 겐지가 방한하여 회담을 가졌다. 이 회담에서 강제 징용 피해자 소송 문제를 포함한 한일 관계에 대한 협의가 이루어졌다.[5]
4. 경력
직책 | 임기 |
---|---|
주유엔 참사관 | |
주이란 공사 | |
주세르비아 대사 | |
외교부 국제기구협력관 | |
청와대 대외전략비서관실 선임행정관 | |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겸 6자 회담 수석 대표 | 2017년 9월 19일 ~ 2020년 12월 21일 |
외교부 제2차관 | 2022년 5월 10일 ~ 2023년 7월 2일 |
주 러시아 대사 | 2023년 7월 ~ |
참조
[1]
웹사이트
李度勳韓国外交部朝鮮半島平和交渉本部長の訪日
https://www.mofa.go.[...]
日本国外務省
2019-12-21
[2]
웹사이트
南北朝鮮と米国、ストックホルム近郊で「建設的」協議を終了
https://jp.reuters.c[...]
ロイター通信
2019-01-22
[3]
웹사이트
米朝実務者、月内に再協議 首脳再会談へ調整大詰め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9-02-09
[4]
웹사이트
米朝会談「感想戦が必要」 韓国、囲碁に例える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9-03-03
[5]
웹사이트
韓日高官 米朝首脳会談後の対応策協議
https://jp.yna.co.kr[...]
聯合ニュース
2019-03-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